지구과학 1 공전궤도반지름이 헷갈려요ㅠㅠ
지구과학 1 공전궤도반지름이 헷갈려요ㅠㅠ
지금까지 '공전궤도반지름=별에서 행성까지의 거리'라고 생각했었거든요?근데 4번 ㄷ 답지 보면 행성 질량이 클수록 공통질량 중심이 행성 쪽으로 이동해서 중심별의 공전궤도반지름이 커진다고 하잖아요그럼 공전궤도반지름은 '별/행성으로부터 공통질량중심까지의 거리'를 의미하는 건가요?→ ㅇㅇ그리고 그렇다면 왜 별은 공통질량중심에서 더 떨어졌는데 공전 속도가 빨라진다는 건가요?? 별이 공통질량중심에서 멀어지면 공전궤도가 더 커져서 공전속도도 느려져야 하는 거 아닌가요?→ 모항성과 행성 간의 거리가 변한게 아니고, 행성의 공전주기(와 모항성의 공통질량중심에 대한 공전주기)는 케플러 3법칙에 따라 항성과 행성간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니까요.(엄밀히 따지면 항성+행성 질량도 따지기는 하는데 항성 질량>> 행성 질량이라 항성 질량만으로 따져도 무방합니다..)
지금까지 '공전궤도반지름=별에서 행성까지의 거리'라고 생각했었거든요?근데 4번 ㄷ 답지 보면 행성 질량이 클수록 공통질량 중심이 행성 쪽으로 이동해서 중심별의 공전궤도반지름이 커진다고 하잖아요그럼 공전궤도반지름은 '별/행성으로부터 공통질량중심까지의 거리'를 의미하는 건가요?→ ㅇㅇ그리고 그렇다면 왜 별은 공통질량중심에서 더 떨어졌는데 공전 속도가 빨라진다는 건가요?? 별이 공통질량중심에서 멀어지면 공전궤도가 더 커져서 공전속도도 느려져야 하는 거 아닌가요?→ 모항성과 행성 간의 거리가 변한게 아니고, 행성의 공전주기(와 모항성의 공통질량중심에 대한 공전주기)는 케플러 3법칙에 따라 항성과 행성간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니까요.(엄밀히 따지면 항성+행성 질량도 따지기는 하는데 항성 질량>> 행성 질량이라 항성 질량만으로 따져도 무방합니다..)